영상제작 사례(19)
-
학회, 학술대회 다큐멘터리 영상 제작사례. 대한치매학회 20주년 기념 영상제작 케미필름
다큐멘터리! 케미필름이 잘 하는 영상 분야 중 하나죠. 이번 글에서는 대한치매학회 20주년 기념 영상 제작 이야기를 함께 나누겠습니다. 서울대 의대 이종욱-서울 프로젝트 10주년 기념 영상을 제작할 때도 느꼈던 사실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의료 선진국으로 발돋움 하기까지는 무수히 많은 의료 전문가들의 땀과 희생이 함께 했다는 것이죠. 대한치매학회 역시 영상 제작을 위한 자료 취합과 관계자 분들에 대한 인터뷰 취재를 진행하면서 같은 느낌을 아주 강하게 받을 수 있었습니다. 90년대 중반 작은 모임으로 시작해 정식 학회로 성장하고 다시 성장을 거듭해 공인 학회로 인정받기까지 학회를 함께 해 오신 많은 분들의 자긍심도 전해지는 시간들이었습니다. 대한치매학회는 월드컵이 열린 해인 2002년 창립 총회 개최를 시..
2023.06.23 -
유튜브 영상제작 사례 - 색소폰 악기 커버연주 영상 제작
유튜브에는 정말 다양한 카테고리의 영상들이 업로드 됩니다. 따라서 영상제작사도 그에 맞춰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는데요. 이번엔 음악 커버연주 영상 제작 사례입니다. 간단하지만 간단하지 않다. 연주자 한 명이 악기를 들고 연주하는 영상 제작 의뢰를 받았습니다. 그냥 생각하기엔 비교적 '간단'한 영상일 수 있습니다만 실상은 그리 간단치만은 않죠. TV에서 방송하는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을 살펴볼까요. 공연 실황 영상을 제외한다면 보통 최소 3회 이상의 연주장면을 각각의 화면 각도와 샷사이즈에 맞춰 녹화한 후 편집 시점에서 다양한 구성을 이끌어 냅니다. 이번 영상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촬영되었습니다. 총 6회에 걸쳐 반복 촬영 되었으며 한 회 녹화시마다 각 샷사이즈 별로 3~4대의 카메라가 동원되었습..
2022.08.11 -
유튜브 라이브 중계, 온라인 행사 - 건국대학교 입학처 2022 KU 전공탐색. 케미필름이 함께했습니다.
시간이 정말 빠릅니다. 매일매일 다른 현장에서 다른 유튜브 라이브 중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만 케미필름 블로그에 글 한 편 올리기가 만만치 않은 현실입니다.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리라 믿으며 오늘의 이야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진학할 학과를 미리 들여다 보고 체험할 수 있는 시간 KU 전공탐색은 미래의 건국대학교 진학을 계획하고 있는 예비 건국인을 위해 건국대학교에서 준비하는 행사입니다. 이 행사를 위해서는 입학팀의 입학 사정관 님들과 각 학과의 교수님, 학생회 담당 등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합니다. 따라서 실제 행사 일로부터 몇 개월 전부터 진행 과정이 논의되곤 합니다. 중계 관련된 업무와 일정도 이미 3개월 여 전에 확정된 상태로 중간중간 스케줄 변경과 프로그램 변경에 대한 협의가 이뤄졌습니..
2022.08.11 -
케미필름 제작사례- TV CF 마이나슈 저당 캠페인
정말 간만에 짬이 나서 제작스토리를 적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엔 TV CF 제작스토리입니다. 새벽같이 촬영장에 모인 스텝들과 함께 촬영 준비가 한창입니다. 이 때 제작했던 CF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음식이나 가공식품 등을 통해 섭취하는 당류를 줄이자는 의미를 담은 캠페인 광고였습니다. 기획부터 제작까지 케미필름에서 일관제작 시스템을 통해 제작했습니다. 이런 경우 대개 마찬가지지만 예산이 넉넉한 경우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빠듯하다 못해 쥐어짜다싶이 해야 하고 그나마도 중간에 제작 과정 중 사소한 실수라도 발생한다면... 큰일이 나죠. 이런 경우 빛을 발할 수 있는 게 일관제작 시스템입니다. 최종 퀄리티를 포기하지 않는 선에서 지킬 수 있는 걸 지켜야 하는... 쉽지 않은 과정입니다. 영상제작에..
2021.07.02 -
유튜브 라이브 방송 중계운영 - 도서관 토크쇼(사람책 도서관)
밀린 업무일지(?) 입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저는 영상제작과 인터넷 라이브 방송 일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 쓰는 이야기는 날짜 보니 작년 11월에 진행했던 건이네요. 얼추 6개월이 훨씬 지난... 그럼에도 기억을 복기해 가며 일지를 남기는 이유는 기록을 위해서입니다. 이날은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 도서관에서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당시 코로나 상황이 심각해져서 모든 공공도서관이 아예 문을 열지 못했던 시절이죠. 카메라 3대와 스위처를 통해서 라이브 방송이 진행되었으며 송출 플랫폼은 유튜브였습니다. 참가 인원수가 많은 팀이 한 팀 있어서 최대 6대의 마이크가 동원되었습니다만... 별도의 오디오 장비를 위한 예산이 확보되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가용한 범위 내에서 유선 핀마이크와 다이내믹 마이크..
2021.06.03 -
페이스북 라이브, 유튜브 라이브 중계 이야기. 장소불문 어디든 갑니다!
요즘 '라이브'가 대세 키워드로 떠오른 건 다들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예전엔 라이브라고 하면 주로 유튜브나 페이스북 정도만 떠올렸다면 최근엔 줌은 물론이고 비메오를 이용한 비공개 라이브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한 오늘의 이야기는 케미필름의 라이브 스트리밍서비스 '케미스트림'의 실시간 라이브 운영사례 살펴보기입니다. 장소불문! 카페에서도 라이브 합니다 지난 7월 한창 더위가 시작할 무렵. 비대면의 절정을 이루던 시기에 진행한 유튜브 라이브 방송입니다. 라이브 토크쇼같은 컨셉으로 진행된 행사였습니다. 총 5~6명의 연사가 각자 강연을 마친 뒤 함께 모여 대안을 모색해 보는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유튜브 라이브를 준비하는 예산이 그리 넉넉치 않은 편입니다. 사실 오프라인으로 진행 ..
2020.11.12